소금은 나트륨(Na) 이온과 염소(Cl) 이온이 결합한 염화나트륨(NaCl)이다.
소금은 체내에서 위산을 만들고 몸의 전해질 균형을 유지시켜주며, 세포가 정상 작동하여 세포 내에 다른 영양소들이 흡수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소금은 적용 요리나 필요한 식단에 따라 종류를 알고 다르게 적용하면 좋다.
천일염
천일염은 염전에서 태양과 바람을 이용해 바닷물에서 걷어내어 나온 소금으로, 염화나트륨뿐만 아니라 각종 무기질(미네랄)이나 갯벌 불순물까지 들어있으며, 입자가 굵다.
국내산 천일염은 마그네슘, 칼슘, 칼륨 등의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어서, 염화나트륨 농도가 80% 정도로 외국산 염화나트륨 농도인 90%보다 낮다.
따라서 천일염은 짠맛은 덜한 편이지만 텁텁하고 쓴 맛이 날 수 있어서 요리의 간을 맞추는 데 사용하기보다 김장을 위해 야채를 절일 때, 생선 간을 할 때 주로 사용한다.
우리나라 천일염은 보통 4~10월에 생산되며, 그중 5~7월에 생산된 소금이 가장 좋다고 한다.
천일염이 건강에 좋은지 여부는 논란이 있는 편이다. 요즘 바다의 오염 정도가 심하며, 천일염 속 다양한 미네랄과 불순물이 몸에 해롭다는 의견과, 천일염이 체내 다른 영양소의 흡수가 잘 되도록 돕는다는 의견의 대립이 있다.
죽염
죽염은 천일염을 대나무 통에 채우고 600도 이상의 고온에서 소나무 장작의 열을 구워낸 것으로, 항산화 성분 및 대나무의 좋은 성분이 증가하여 몸속의 활성산소를 제거해 혈행 개선이나 염증 방지 등 각종 효능이 있다.
정제염
정제염은 바닷물을 이온교환막을 통해 전기분해하여 염화나트륨을 꺼낸 소금으로, 불순물이 적고 천일염에 비해 위생적이며, 흡습성이 적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정제염은 천일염보다 입자가 훨씬 작고, 다른 소금을 만드는 기초 재료가 되기도 한다.
꽃소금(제제염)
꽃소금은 천일염이나 암염(돌소금)을 세척한 후 불순물을 여과해서 다시 결정화시킨 소금으로, 염화나트륨 농도가 99.8% 수준이기 때문에 매우 짜다.
꽃소금은 천일염에 비해 무기질 함량은 적지만 대신 불순물도 여과되어 더 적은 편이다.
꽃소금은 결정 모양이 마치 꽃 같아서 꽃소금이라 부르는데, 입자가 가늘고 농도가 균일하여 국, 찌개, 나물 무침 및 각종 요리의 기본 재료로 간을 맞출 때나, 과자류 등의 가공식품 제조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맛소금(제제염)
맛소금은 꽃소금에 MSG 등 조미료가 약간 첨가된 소금으로, 감칠맛이 나기 때문에 고기 등 구이요리에 사용하면 적합하다.
구운소금(가공염)
구운소금은 세척 후에도 남아있는 간수, 불순물 등을 기화시키기 위해 한번 구워낸 가공 소금으로, 쓴 맛이 적고 약간의 단맛을 낸다.
구운소금은 소금 중 가격이 가장 비싼 편이며, 국, 나물 무침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한다.
굵은 소금
굵은 소금은 자연 생산된 형태를 그대로 가진 소금으로, 입자가 크고 거칠다.
굵은소금은 주로 스테이크, 고기 구이, 해산물 등에 사용한다.
암염(돌소금, 석염)
암염은 순수한 염화나트륨으로 이루어진 퇴적암으로, 자연적으로 땅속에 매장되어 있는 소금이며, 염도가 높은 소금물이 증발할 때 만들어진다.
암염은 염화나트륨 농도가 98~99%로 미네랄이 거의 없으며, 주로 무색 또는 투명한 색상을 띠나, 토질에 따라 다양한 색을 나타내기도 한다.
히말라야 산맥의 광물질에서 캐낸 분홍빛의 핑크 솔트(히말라야 소금), 안데스 산맥에서 생산된 로즈 솔트가 대표적인 암염이며, 치약, 식염, 입욕제, 찜질방 벽돌 등으로 사용된다.
식염 대체 소금이란
식염 대체 소금은 소금을 대신하여 사용되는 조미료로, 식초, 바질, 로즈마리 등 다른 재료를 혼합하여 만들어진다.
식염 대체 소금은은 고혈압, 심장 질환, 당뇨 환자 등 나트륨이 적은 식단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적합하다.
소금 고르는 방법
소금을 손으로 한줌 집었을 때 축축한 느낌이 없고 가벼워서 손에 묻어나지 않고 자연스럽게 떨어지는 것이 좋다.
소금의 맛을 봤을 때 첫 맛은 짭짤하지만 뒷 맛은 단맛이 나는 것이 좋으며, 쓴맛이 강하면 중국산일 가능성이 크다. 소금을 씹었을 때에는 잘 부서지는 것이 좋다.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박 종류 칼로리 성분 보관방법 (1) | 2024.02.17 |
---|---|
백설탕 vs 황설탕 vs 흑설탕 종류 특징 (1) | 2024.02.15 |
간장 종류 특징 어울리는 요리 고르는 방법 (1) | 2024.02.13 |
커피 에스프레소 종류, 카페 메뉴 정리 (2) | 2024.02.12 |
콤부차에 대하여 효능 다이어트 유산균 (2) | 2024.02.09 |